시사경제용어정리 세번째입니다 ㅎㅎ
1. CPTPP :
환태평양경제동반자협정. 일본 주도로 아시아·태평양 11개국이 참여하는 '포괄적·점진적 환태평양경제동반자협정
2. SPS :
식품및 동식물 검역규제 적용에 관한 협정으로 식품첨가물, 오염물질(잔류농약, 중금속, 기타오염물질), 병원성 미생물, 독소등 4개분야에 걸쳐 기준치와 규격을 국제적으로 정하고 이를 통과할 경우 식품의 교역을 거부할수 없다는 것
3. FAO :
유엔식량농업기구
4. 디지털 디바이드 :
디지털 경제에서 나타나는 계층간 불균형을 말하며, 빈부간에 디지털화가 차이가 나고 사회에서 필요로 하는 인터넷 지식을 갖추지 못할 경우 그 격차가 점점 깊어지는 것을 의미한다. 즉 지식, 인터넷의 부익부빈익빈 현상이라고 할 수 있다.
5. 그린 뉴딜 :
환경과 사람이 중심이 되는 지속 가능한 발전을 뜻하는 말로, 현재 화석에너지 중심의 에너지 정책을 신재생에너지로 전환하는 등 저탄소 경제구조로 전환하면서 고용과 투자를 늘리는 정책
6. 파리기후변화협약 :
2020년 만료 예정인 교토의정서를 대체, 2021년 1월부터 적용될 기후변화 대응을 담은 기후변화협약
7. 뉴노멀 :
시대변화에 따라 새롭게 부상하는 표준으로, 경제 위기 이후 5∼10년간의 세계경제를 특징짓는 현상
8. RPC :
미곡종합처리장. 미곡의 전과정을 처리하는 시설
9. 반농반X :
하루의 절반은 농사를 짓고, 절반은 자신이 하고싶은 일을 병행하는 삶의 방식
10. 농촌공간계획 :
농촌지역의 난개발, 저개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농촌공간을 체계적으로 이용, 관리하는 정책
11. 관계인구 :
단순한 지역 이주자나 관광 체류자가 아니러 지역과 관계를 맺어가며 지속적이고 다양한 형태로 지역문제를 해결하는 데 적극적으로 도움을 주는 인구
12. 내년 농업예산 :
약 17조 5000억원
13. ISO14000 :
국제 환경표준화 인증규격. 국제적으로 환경관련규격을 통일해 제품 및 이를 생산하는 기업에 환경인증을 주는 것으로, 그린 라운드의 환경표준규격으로 적용될 가능성이 매우 높아 주목받고 있다.
14. 팬데믹 :
세계보건기구(WHO)가 선포하는 감염병 최고 경고 등급으로, 세계적으로 감염병이 대유행하는 상태를 일컫는다
15. 현재 출산율 :
2019년 기준 약 0.92명(0.918)
16. 식량 자급율 :
국내 식량자급룰:45.8%(2022년목표치 55.4%)
10년간 곡물자급률: 21%( 27.3%)
밀 자급률:1%.(2025년 밀 자급률 5%목표, 2030년 10%목표)
17. 통화스와프 :
서로 다른 통화를 약정된 환율에 따라 일정한 시점에서 상호 교환하는 외환거래
18. 코스닥과 코스피 차이 :
코스닥(KOSDAQ) 보통 대기업 주식이 거래되는 코스피와 달리 중견·중소기업의 주식이 거래되는 주식시장이다.
19. 디지털세 :
구글, 아마존, 페이스북 등 온라인·모바일 플랫폼 기업의 자국 내 디지털 매출에 법인세와는 별도로 부과하는 세금이다. 법인이나 서버 운영 여부와 관련 없이 이익이 아닌 매출이 생긴 지역에 세금을 내는 것이 특징이다.
20. 메디치효과 :
서로 다른 이질적인 분야를 접목하여 창조적ㆍ혁신적 아이디어를 창출해내는 기업 경영방식
21. 긱경제 :
산업현장에서 필요에 따라 사람을 구해 임시로 계약을 맺고 일을 맡기는 형태의 경제 방식을 말한다. 노동자 입장에서는 어딘가에 고용돼 있지 않고 필요할 때 일시적으로 일을 하는 ‘임시직 경제’를 가리킨다.
22. 그린 스완 :
후변화 시대의 중앙은행과 금융 안정성’ 보고서에서 볼 수 있다. 발생 가능성은 낮으나 발생했을 때 엄청난 충격을 주는 사건을 ‘블랙 스완(Black Swan)’이라고 부르는 개념에서 따온 용어인데, 그린 스완은 기후변화로 인해 초래될 경제·금융 위기의 가능성을 뜻한다.
23. 치유농장(케어팜) :
몸이나 마음이 불편한 사
람들이 보살핌을 받으며 재활의 목적으로 일을 할 수 있는 농장
24. 농림사업정보시스템(AgriX) :
AgriX란 사업관리의 효율화를 도모하고, 농업인이 관련 사업정보를 신속하고 편리하게 제공 받을 수 있도록, 농림사업의 신청에서 정산까지 모든 과정을 전산정보화하여 통합관리하는 시스템.
25. 국제식품규격위원회(CODEX·코덱스)
1962년에 설립된 정부 간의 모임이자 국제적으로 통용될 수 있는 식품 규격 기준을 제정·관리하는 전문 조직으로, 세계보건기구(WHO)와 국제연합식량농업기구(FAO)가 합동으로 운영한다.

'농협. 농업.' 카테고리의 다른 글
★깔끔주의★ 피피티템플릿 무료공유/발표피피티과제 요걸로! (5) | 2021.06.01 |
---|---|
농협면접준비 한번에! 시사경제용어정리 2 (6) | 2021.05.23 |
금리인하요구권! 대출이자 나만 비싸ㅠㅠ (11) | 2021.05.20 |
농협면접준비) 시사금융용어정리! (6) | 2021.05.17 |